|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Pl. Taxon > Volume 49(1); 2019 > Article
정광산(용인시)의 관속식물상

적 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하는 정광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이에 분포하는 주요식물을 확인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 정광산에서 총 89과 234속 323종 6아종 34변종 4품종의 367분류군의 관속식물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4분류군, II등급 2분류군, I등급 9분류군으로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은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적색목록 식물로는 준위협종(Near Threatened, NT)으로 께묵 1분류군,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으로 금붓꽃 1분류군으로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는 개망초, 돼지풀, 붉은서나물 등을 포함하여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Jeonggwangsan Mt. (Yongin, Korea) from May of 2015 to September of 2016. Through 14 independent field investigations, we identified a total of 367 taxa of vascular plants, including 89 families, 234 genera, 323 species, six subspecies, 34 varieties, and four formae. Eight taxa were endemic to Korea, while 27 were naturalized in Korea. Nineteen taxa were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 Korea: four in Rank VI, four in Rank III, two in Rank II, and nine in Rank I. A total of 59 taxa were designated as controlled Korean biological resources, requiring special permission for export to outside countries. Two taxa were listed on the Red List of Korea, including one Near Threatened (NT) taxon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and one Least Concern (LC) taxon (Iris minutoaurea Makino).

정광산(562.1 m)은 행정구역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에 속하며, 북위 37o19′, 동경 127o16′로 용인시 모현면과 광주시 도척면의 경계에 위치한다. 이 경계를 따라 정광산의 북쪽으로는 노고봉(573.6 m)이 바로 위치하며 다시 백마산(460.6 m)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태화산(641.1 m)과 정수산(395.9 m)이 이어진다. 본 조사 구역인 용인시 일대는 중부 아구에 속하며, 중부 서안형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북부 지역 식물상과 남부 지역 식물상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전형적인 중부 지방 식물상으로,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등이 주된 식생을 이루는 온대 혼효림을 이룬다(Kim, 2009). 지질학적으로 정광산이 위치하고 있는 모현면은 대부분이 호상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부는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되어있다(Kwon, 2009).
정광산은 서사면과 동사면의 크고 작은 계곡을 따라 물이 흐르며, 각각 용인 경안천과 광주 노곡천으로 흘러 든다. 이 중 서사면의 용인시 모현면 초부리를 향해 물이 흐르는 계곡을 따라 용인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있어, 캠핑장 및 숙박시설과 함께 에코어드벤쳐 등의 놀이 시설이 개발되어 있고 정상부에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서사면을 따라서는 여러 시설물뿐만 아니라 등산로 및 시설물 접근을 위한 임도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들의 접근 역시 용이하여 많은 등산객과 휴양객들이 많이 찾아와 일부 식생이 파괴되어 조림되어 있다. 동사면인 광주시 도척면 상림리로도 일부 산림이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및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로 조림되어 있다.
본 조사지역과 남쪽으로 인접하고 있는 태화산의 식물상은 Choi et al. (2001)의 연구에 의해 56과 103속 132분류군이 보고된 바 있으며, Ko and Shin (2009)에 의해 50과 94속 116종 11변종 7품종의 총 130분류군이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정광산의 식물상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직접 이루어진 바 없으며 본 연구 조사로 처음 이루어졌다. 정광산은 용인자연휴양림과 주변 민가를 포함하여 많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들의 접근이 쉬워 식물상이 계속해서 파괴되기 쉽지만 용인자연휴양림을 활용한 정광산의 생물자원보전 가능성이 기대되는 만큼 정광산을 중심으로 한 자세한 식물상 조사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광산의 식물상을 조사하고 이에 분포하는 주요식물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식물 자원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정광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해 용인자연휴양림 일대와 광주시 도척면 상림리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현지조사가 수행되었다(Fig. 1, Table 1). 조사재료는 동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꽃이나 열매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채집하였다. 채집된 재료는 Lee (2003), Lee (2006), Oh (2006),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Chang et al. (2011), Park et al. (2011), Lee and Lee (2015) 등의 도감을 이용하여 동정하였으며, 학명 및 분류체계는 국가생물종목록(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을 우선적으로 따랐으나 일부 국가표준식물목록(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을 참조하였다. 주요식물의 검토에 있어서 특산식물은 Chung et al. (2017)의 연구를, 귀화식물은 국가표준식물목록(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을 참조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을, 국외 반출 승인대상 식물자원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멸종위기종 및 적색목록은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과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를 참조하였다. 조사에서 채집된 재료들은 모두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생물자원관(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에 확증표본으로 보관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이번 조사를 통해 정광산에서 89과 234속 323종 6아종 34변종 4품종 총 367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2, Appendix 1). 이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거한 한반도 자생 및 귀화 관속식물 4,500분류군의 8.2%에 해당하며, 이 중 양치식물은 4과 5속 7종의 7분류군, 나자식물은 1과 2속 2종의 2분류군, 피자식물은 84과 227속 314종 6아종 34변종 4품종의 35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피자식물 358분류군 중에서 쌍자엽식물이 73과 186속 249종 6아종 30변종 3품종의 288분류군을, 단자엽식물이 11과 41속 65종 4변종 1품종의 70분류군을 차지하였다(Table 2).

특산식물

정광산에서 확인된 378분류군 중 한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특산식물은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붉노랑상사화),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Scutellaria insignis Nakai (광릉골무꽃),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로 총 8과 8속의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이는 Chung et al. (2017)의 연구에서 보고한 특산식물 360분류군의 약 2.2%를 차지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한반도의 구계분석을 통해 각각의 분포범위에 따라 I–V의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식물 분류군을 의미하며, V등급으로 갈수록 제한된 구역에 분포하며 I등급으로 갈수록 더 넓은 구계에 걸쳐 분포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식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식물과 서식처의 보존에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에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Choi, 2016). 정광산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4과 19속의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4). 한 아구에만 분포하는 IV등급 분류군은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Poa viridula Palib. (청포아풀),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붉노랑상사화)와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산복사)의 4분류군, 두 아구에 분포하는 III등급 분류군은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등 4분류군,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II등급 분류군은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와 Primula sieboldii E. Morren (앵초)의 2분류군, 그리고 세 아구에 분포하는 I등급 분류군은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Oxalis obtriangulata Maxim. (큰괭이밥)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V등급에 속하는 붉노랑상사화와 산복사는 정갱이에서 큰골로 올라가는 계곡 그늘진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산지임에도 불구하고 분포지역까지 임도가 이어지고 주택과 농지가 있어 인위적으로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들 분류군의 경우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정광산에서의 분포 현황과 실체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종의 자생이 확인될 경우 추가적인 개발이나 사람들의 접근으로부터 자생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생물다양성협약에 근거해 자생생물 자원을 확보하고 관리하여 국가 생물주권을 강화하고자 국외로의 무단방출이 제한된 고유종 및 경제적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자생생물 자원이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이번 조사로 정광산에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특산식물 8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34과 53속의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Appendix 1). 이는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의 연구에서 선정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 1,077분류군 중 약 5.5%를 차지한다.

멸종위기식물 및 적색목록식물

적색목록식물은 국내에 자생하는 관속식물 중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에서 정한 적색목록 범주와 기준에 해당하는 분류군을 정리한 것으로, 이 중 위급(Critically Endangered, CR), 위기(Endangered, EN), 취약(Vulnerable, VU)을 중심으로 야생에서 절멸 위기에 처한 분류군을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식물로 선정하였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이번 조사로 정광산에서 멸종위기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총 2과 2속의 2분류군의 적색목록식물이 확인되었다(Table 5). 이는 전체 적색목록식물 543분류군 중 약 3.7%를 차지한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이 중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께묵)가 현재는 위급, 위기, 취약에 해당하지 않으나 가까운 미래에 멸종위기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준위협(Near Threatened, NT)에 해당하였으며,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가 적색목록 기준에는 포함되나 개체수와 집단이 많아 특정 범주에는 포함되지않는 관심대상(Least Concern, LC)에 해당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준위협에 해당하는 께묵은 용인자연휴양림 내 깊은골에서 에코어드벤쳐로 이어지는 숲길에서 발견되었다. 개체수가 적지는 않았으나 산자락의 숲속임에도 불구하고 가까이까지 임도가 존재하고 휴양객을 대상으로 한 산책길이 자생지를 통하므로 관심을 가지고 자생지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귀화식물

이번 조사를 통해 정광산에서는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ex DC. (붉은서나물) 등을 포함하여 총 12과 27속의 27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Table 6). 이는 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된 귀화식물 321분류군의 약 8.4%를 차지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이번 조사에서는 다른 주요식물에 비해 귀화식물이 더 많은 비중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정광산을 주변으로 민가와 농지가 많이 개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도심지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귀화식물의 유입이 쉽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용인자연휴양림을 찾는 휴양객을 통해서도 다양한 귀화식물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심지와 가까운 곳인 만큼 이와 같은 현상이 계속해서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되기에 지속적인 관리와 조사를 통해 귀화식물의 유입 및 분포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식물상 및 식생

본 조사지역인 정광산은 한반도 식물구계 중 중부아구에 속하며, 신갈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Kom.),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 개옻나무(Toxicodendron trichocarpum (Miq.) Kuntze),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등이 주로 혼재되어 있는 전형적인 온대 중부형 식물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 지역은 경기도 서남부로 중부 서안형 기후대에 속하여 강원도와 비슷한 기후대와 식물상을 보이는 경기 동북부 산지와는 구분되었다(Choi et al., 2001; Kim, 2009).
이번 조사 결과 초부리 방면 에서는 소나무, 잣나무 등의 상록수종과 함께 신갈나무, 갈참나무(Quercus aliena Blume) 등의 참나무류,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 고로쇠나무(Acer pictum var. mono (Maxim.) Franch.), 당단풍나무, 잔털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 산초나무,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난티잎개암나무(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등이 흔하게 발견되며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와 산복사도 자라고 있었다. 하지만 본 산은 자연휴양림, 임도 개발, 경작 등의 이유로 인위적인 훼손이 많고 사람의 접근이 많아 질경이(Plantago asiatica L.),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L.) Scop.), 돌피(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등 도로변이나 트인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 흔히 나타났고,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 Jacq.),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L.), 돼지풀, 족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L.) 등의 귀화식물이 아주 흔하게 분포하였다. 또한 조림을 위해 식재된 수종이 많았는데, 일본잎갈나무, 편백(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뿐만 아니라, 현재는 사라졌으나 옛 가마골터와 마을이 있었던 흔적으로 보이는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 고욤나무(Diospyros lotus L.), 개살구나무(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등과 함께, 최근에 자연휴양림이 조성되면서 식재된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화살나무(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산수국(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Siebold & Zucc.) E. H. Wilson)도 흔히 볼 수 있었다. 습지 비오톱 근처에는 물가에서 잘 자라는 버드나무(Salix koreensis Andersson), 신나무(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물푸레나무 등의 수목식생과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itzi) Miq.), 물봉선(Impatiens textori Miq.), 고마리(Polygonum thunbergii Siebold & Zucc.), 개망초, 여뀌류 등의 초본식생이 번성하고 있고,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등산로 주변에서는 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정광산의 식물상은 기존에 Choi et al. (2001), Ko and Shin (2009) 등에 의해 이루어진 경기도 중부지방에 대한 식물상 조사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정광산과 인접해있는 태화산의 경우 Choi et al. (2001)에 의해 조사된 결과 신갈나무, 산초나무, 생강나무,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 DC.) 등의 수목식생과 윤판나물(Disporum uniflorum Baker), 앉은부채,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등의 초본식생이 자연식생에서 관찰되고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가 조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정광산의 식물상과 아주 유사한 식물상 및 식생환경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태화산과 정광산의 식물상을 비교해본 결과 태화산에서 보고된 분류군 중 60.6%가 정광산에서도 확인되었고, 특히 해당 분류군이 속한 과의 경우 93.2%, 속의 경우 77.9%가 정광산에서도 확인되었다(Fig. 2).

생태학적 중요성

정광산은 도시 지역에 가깝게 인접해 있는 도시산림 지역으로, 사람들의 접근이 쉽고 크고 작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산림지역이 쉽게 훼손될 수 있다. 특히 초부리 방면 일부 사면으로는 벌목으로 인해 주요 수목식생이 크게 훼손되어 있었고, 이로 인해 토양이 노출되어 건조해져서 초본식생 역시 기존의 계곡음지식생에서 나지식생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였다. 정광산 일대는 동서로 큰 강줄기가 흐르며 산에도 크고 작은 계곡을 따라 끊임없이 물줄기가 흐른다. 도시산림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이 물줄기를 따라 다양한 식물종이 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등의 주요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었기 때문에 생태학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Jo and Ahn (2000)의 연구에서 용인시 일대의 신갈나무를 포함한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온대중부활엽수림은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 중 탄소를 효과적으로 저장하여 대기탄소농도를 저감하는데 큰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확인되어, 정광산 일대의 자연수목은 도시생태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광산에 조성된 용인자연휴양림에는 숲길을 따라 정광산에 자생하는 식물들이 관리되고 있을 뿐 아니라 비오톱을 조성하여 수계음지식생이 잘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용인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한 생태 보전 및 관찰을 통해 정광산의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The earlier version of this manuscript was greatly improved by helpful comments and suggestions from two anonymous reviewers and editorial members of the KJPT.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NIBR201501202)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fun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Republic of Korea.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re are no conflicts of interest..

Fig 1.
The map of Jeonggwangsan Mountain. (A) The location of Jeonggwangsan Mt. in the Korean Peninsula. (B) The investigation routes in this study.
kjpt-49-1-70f1.jpg
Fig 2.
The comparison of florae of Jeonggwangsan and Taehwasan Mts. in different taxonomic ranks.
kjpt-49-1-70f2.jpg
Table 1.
The dates and routes of floral investigation in Jeonggwangsan Mt.
Date Investigation routes
8 May 2015 Bamtigol → Jeonggaengigol → Seongjaegol
5 Jun 2015 Eco-Adventure (Yongin Natural Recreation Forest) → Jeonggaengigol
9 Jul 2015 Jilma Gogae → Jeonggaengi → Keungol → Jeonggwangsan Mt. →Nogobong
27 Aug 2015 Jeonggaengi → Keungol
5 Oct 2015 Bamtigol → Gipeungol → Barinamugol → Baramnaemi Gogae
22 Oct 2015 Gipeungol → Eco-Adventure
7 Apr 2016 Gamagol → Bamtigol
20 Apr 2016 Gipeungol → Eco-Adventure → Bamtigol
17 May 2016 Seungbangteo → Jeonggaengi → Keungol
2 Jun 2016 Jilma Gogae → Jeonggaengi → Keungol
22 Jun 2016 Neungangol → Seongjaegol
15 Jul 2016 Gipeungol → Jeonggaengigol → Jeonggwangsan Mt.
2 Sep 2016 Seongjaegol → Jeonggaengigol → Jeonggwangsan Mt.
28 Sep 2016 Gipeungol → Barinamugol
Table 2.
The categorized taxon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Jeonggwangsan Mt.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Pteridophytes 4 5 7 - - -
Gymnosperms 1 2 2 - - -
Angiosperms Monocots 11 41 65 - 4 1
Dicots 73 186 249 6 30 3
Subtotal 84 227 314 6 34 4

Total 89 234 323 6 34 4
Table 3.
The list of the endemic plants to Korea in Jeonggwangsan Mt.
Family Scientific name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Lamiaceae Scutellaria insignis Nakai 광릉골무꽃
Scrophular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Diervill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Asteraceae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Cultivated)
Lili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Amaryllidaceae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붉노랑상사화 (Cultivated)
Table 4.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of Korea in Jeonggwangsan Mt.
Category Family Scientific name
IV Rosaceae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산복사 (Cultivated)
Poaceae Festuca rubra L. 왕김의털
Poa viridula Palib. 청포아풀
Amaryllidaceae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붉노랑상사화 (Cultivated)
III Rosaceae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Lamiaceae Scutellaria insignis Nakai 광릉골무꽃
Rubiaceae Asperula odorata L. 선갈퀴
Poaceae Diarrhena fauriei (Hack.) Ohwi 광릉용수염풀
II Primulaceae Primula sieboldii E. Morren 앵초
Iridaceae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
I Dryopteridaceae 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곰비늘고사리
Pinaceae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
Ranunculaceae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Clematis patens C. Morren & Decne. 큰꽃으아리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괭이눈
Rosaceae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Oxalidaceae Oxalis obtriangulata Maxim. 큰괭이밥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Asteracea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Table 5.
The list of plants on the red list of Korea in Jeonggwangsan Mt.
Category Family Scientific name
NT Asteraceae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께묵
LC Iridaceae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

NT, Near Threatened; LC, Least Concern.

Table 6.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to Korea in Jeonggwangsan Mt.
Family Scientific name
Phytolaccaceae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Chenopodiaceae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Amaranthaceae Amaranthus retroflexus L. 털비름
Caryophyllaceae Silene armeria L. 끈끈이대나물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Rosaceae Potentilla supina L. 개소시랑개비
Fabaceae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Onagraceae Oenothera odorata Jacq. 달맞이꽃
Convolvulaceae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Scrophulariaceae Veronica arvensis L. 선개불알풀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ex DC. 붉은서나물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Eupatorium rugosum Houtt. 서양등골나물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털별꽃아재비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Xanthium canadense Mill. 큰도꼬마리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Eragrostis curvula (Schrad.) Nees 능수참새그령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Literature Cited

Chang, C.S.. Kim, H. and Chang, K.S..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eoul. 511 (in Korean).

Choi, B.N.. 2016. The National Atlas of Korea II.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Suwon. 81-82 (in Korean).

Choi, D.Y.. Chang, C.S. Kim, J.Y.. Jeon, J.I.. Kim, H.. Min, W.K. and Kang, U.. 2001. Flora of Province Gyonggi-do.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25-76 (in Korean).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264-288 (in Korean).
crossref pdf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 pp.

Jo, H.K. and Ahn, T.W.. 2000. Indicators of carbon storage and uptake by tree growth in natural ecosystem. Korean Journal of Envionment and Ecology 14: 175-182 (in Korean).

Kim, C.Y.. 2009. Flora. Retrieved Oct. 22, 2018, available from http://yongin.grandculture.net. (in Korean).

Ko, S.C. and Shin., Y.H. 2009. Flora of middle part in Gyeonggi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2: 49-70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 (in Korean).

Kwon, D.H.. 2009. Geology. Retrieved Oct. 22, 2018, available from http://yongin.grandculture.net. (in Korean).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1: 914 , Vol. 2, 910 pp. (in Korean).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Seoul. 1: 975 Vol. 2, 885 pp. (in Korean).

Lee, C.S. and Lee., K.H..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471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Gwacheon & Incheon. 173-226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90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nd e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242 pp.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6. Revision of the Control List of Indigenous/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716-759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Retrived Oct. 16, 2018, available from http://kbr.go.kr (in Korean).

Oh, Y.C.. 2006.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404 (in Korean).

Park, S.H.. Lee, Y.M.. Jeong, S.Y.. Chang, K.S.. Kang, U.. Jung, S.S. and Yang, J.C..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600 (in Korean).

APPENDICES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Jeonggwangsan Mt.

kjpt-49-1-70-app1.pdf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6,105
View
176
Download
Related articles
A palynological study of Viola in Korea  2024 March;54(1)
Floristic study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n Korea  2020 December;50(4)
Floristic study of Hwangmaesan Mt.  2020 June;50(2)
Floristic study of Ibamsan Mt. and Baekamsan Mt.   2020 March;50(1)
Floristic study of Jogyesan Mt.  2018 December;48(4)
Editorial Offic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Department of Biology, Daejeon University, Daejeon 34520, Korea
TEL: +82-42-280-2434   E-mail: kjpt1968@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