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의 관속식물상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에 걸쳐 총 55일간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93과 313속 462종 6아종 52변종 4품종 등 총 49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IUCN 기준에 따른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9분류군, 위기종(EN) 6분류군, 취약종(VU)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1급 1분류군, 2급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71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울릉도 특산식물은 3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귀화식물은 6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상추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Trans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Island. Fieldwork related to the study was carried out 55 times from 2007 to 2011.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lora of Ulleungdo Island consisted of a total of 494 taxa, with 93 families, 313 genera, 462 species, 6 subspecies, 52 varieties and 4 formas. Among the collected plants, there were 9 taxa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6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and 12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Furthermore, protected species and those of floristic regional plants above degree III according to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4 taxa and 72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33 taxa were endemic to Ulleungdo Island and 66 taxa were naturalized plants.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울릉도는 지리적으로 북위 37º 27'−37º 33', 동경 130º 47'−130º 54' 사이에 위치하며, 한반도와는 약 130 km 떨어져 있다. 칼데라 화구인 나리분지를 성인봉(983.6 m), 나리령(813 m), 미륵봉(800 m) 등의 봉우리들이 둘러싸고 있고 중앙의 성인봉을 중심으로 세 개의 주능선이 발달한다. 산지의 경사는 평균 30º 정도로서 10º 이상의 고경사지형이 섬 면적의 90%이상을 차지하며, 2−5 km의 짧은 하천이 800−900 m의 산지에서 해안으로 직류하는 방사상 하계망을 보이고, 화산암의 투수성으로 인하여 북면의 천부리와 울릉읍의 저동리 일대에는 중앙산지와 나리분지로부터 지하로 유입된 다량의 지하수가 지표로 솟아 나오는 다수의 용출소가 존재한다(Choi, 2008).
조사지역의 기후는 온난다습한 해양성기후로 같은 위도상의 내륙지역에 비하여 난대성식물이 많이 분포한다. 연평균기온은 12.3℃로서 월 평균기온이 연중 0℃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연강수량은 1,236.2 mm로 동계와 하계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인다(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2011; Fig. 1). 섬이 지리적으로 동해의 난류와 한류의 접합대에 위치함으로서 상록활엽수림과 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이 동시에 나타나는 독특한 식생구조를 보여주고 있다(Kim et al., 1996; Lee, 2008). 지질, 기후 역시 한반도와는 독립적인 자연환경을 갖고 이에 따라 매우 독특한 식생과 식물분포학적 특성을 보이며, 분포하는 다수의 특산식물과 식생의 고유성은 식물학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 주제를 제공해 준다.
울릉도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는 Ishidoya (1917)를 시작으로 초기에는 Nakai (1919, 1928, 1930), Ishidoya (1928), Uyeki & Sakata (1935), Kitagawa (1937), Ohwi (1938) 등 주로 일본학자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특히 Nakai는 400여 분류군의 자생식물과 함께 40여 분류군의 울릉도 특산식물을 기록한 바 있다. 이후 Yang (1956), Lee and Joo (1958), Chung and Lee (1965), Choi (1968), Oh (1971), Do and Park (1976), Oh (1978), Lee and Yang (1981), Lee et al. (1996), Hong et al. (2002), Shin and Kim (2002), Yang et al. (2001), Park et al. (2007), Jung et al. (2013)에 의하여 추가로 연구된 바 있다. 문헌에 기록된 관속식물의 수는 137과 496속 1,040여 분류군으로 정리되었으나, 여기에는 실체가 모호한 분류군, 오동정, 분류학적 이명과 재배식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울릉도의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밝히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연구된 울릉도의 관속식물상을 재검토하는 한편, 증거표본을 근거로 한 울릉도의 정확한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아울러 이 지역 산림유전자원의 건전한 활용 및 희귀식물의 보존대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해 2008년부터 2011년에 걸쳐 총 55일간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Table 1). 조사지역을 1 m ×1m의 80개 격자로 나누고 격자 내의 식물 분포를 조사하였고 수집된 증거표본의 채집번호에 격자 번호를 표시하였다(Fig. 2). 증거표본은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수집하였으며, 석엽 또는 액침표본으로 제작하여 충북대학교 표본관(CBU)과 안동대학교 표본관(AHN)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에는 Lee (2003), Lee (1996a, b), Lee (2006), Park (2009) 등의 도감을 이용하였다. 조사된 관속식물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를 따랐으며, 과내에서는 속명과 종명의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고(Appendix),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에 준하여 사용하였다. 희귀식물, 멸종위기식물, 특정식물종은 희귀식물은 Oh et al. (2005), Lee (2008)의 목록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 학원에서 제시한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는 Lee et al. (2011)을 참고하였다.
결과 및 고찰
문헌에 기록된 식물목록 검토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집계된 울릉도 관속식물은 1,04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Yang, 1956; Lee and Joo, 1958; Chung and Lee, 1965; Choi, 1968; Oh, 1971; Do and Park, 1976; Oh, 1978; Lee and Yang, 1981; Lee et al., 1996; Hong et al., 2002; Shin and Kim, 2002; Yang et al., 2001; Park et al., 2007; Jung et al., 2013). 문헌목록에는 재배식물과 오동정된 분류군,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는 분류군 및 제주도 특산식물 또는 국내 미분포 분류군으로서 울릉도 분포가 불확신한 분류군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정확한 울릉도의 관속식물상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기록된 울릉도의 관속식물 목록을 검토하였고 기록된 식물의 진위 여부를 고찰하였다.
재배식물은 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 수련(Nymphaea tetragona Georgi), 수국(Hydrangea macrophylla f. otaksa (Siebold & Zucc.) Wilson), 황매화(Kerria japonica (L.) DC.), 살구나무(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Bunge), 골담초(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덩굴장미(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Thory), 완두(Pisum sativum L.),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 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ssk.) Hara) 등 1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들 식물은 인가주변, 논, 밭 등에 식재하였거나 재배되고 있는 식물들로서 울릉도의 자생식물목록에서 제외하였다(Table 2).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산마늘(Allium microdictyon Prokh.), 연영초(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등 69분류군은 오동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var. matsumuranus Nakai),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북새발고사리(Athyrium melanolepis (Franch. & Sav.) Christ),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 Miq.)은 국내 미분포 분류군으로 괭이눈과 북새발고사리는 일본에 분포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Chung and Kim, 1988; Iwatsuki et al., 2001; Chung et al., 2006;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Park et al., 2008). 개현삼(Scrophularia grayana Maxim. ex Kom.), 대팻집나무(Ilex macropoda Miq.), 음양고비(Osmunda claytoniana L.), 섬쑥(Artemisi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Nakai) Kitam.), 물쑥(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물고추나물(Triadenum japonicum (Blume) Makino) 등 29분류군은 한반도에는 분포하지만 울릉도에 분포하지 않는 것이 확실한 분류군이며(Park et al., 2008; Chang et al., 2012; Jang, 2012; Lee, 2012; Park, 2012; Kim and Oh, 2013), 큰고란초(Crypsinus engleri (Luerss.) Copel.), 털별고사리(Thelypteris parasitica (L.) Fosberg), 괴불이끼(Crepidomanes insigne (Bosch) Fu.), 큰처녀고사리(Thelypteris quelpaertensis (Christ) Ching) 등 19분류군은 남해안에 분포하거나 제주도 특산인 분류군(Park et al., 2008; Chang et al., 2012), 물쇠뜨기(Equisetum pratense Ehrh.), 눈괴불주머니(Corydalis ochotensis Turcz.)는 이북에 분포하는 분류군(Oh, 1986; Park et al., 2008)으로서 이들의 문헌기록은 신뢰하기 힘들다. 또한 보리장나무, 천남성(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ausa), 산마늘, 연영초,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an Houtte), 갯장대(Arabis stelleri DC.), 수리취(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윤판나물(Disporum uniflorum Baker)은 각각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Thunb.), 섬남성(Arisaema takesimense Nakai), 울릉산마늘(Allium ochotense Prokh.),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Maxim.), 섬자리공(Phytolacca insularis Nakai), 섬장대(Arabis takesimana Nakai), 큰수리취(Synurus excelsus (Makino) Kitam.), 윤판나물아재비(Disporum sessile D.Don)의 오동정인 것으로 판단된다. 날개하늘나리(Lilium dauricum Ker Gawler.), 설앵초(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노랑원추리(Hemerocallis thunbergii Baker) 등 7분류군은 현지조사 결과 울릉도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털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var. jackii Koehne),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Thunb.) Pers.), 털야광나무(Malus baccata var. mandshurica (Maxim.) C.K.Schneid.), 큰십자고사리(Polystichum tripteron f. subbipinnatum H.Itô) 등 31분류군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개체변이에 의한 형질로 구분되는 분류군들으로 최근 연구결과에서는 이명으로 다루고 있고(Oh, 1999;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Park et al., 2008), 맥도딸기(Rubus longisepalus Nakai), 큰고추나물(Hypericum attenuatum var. confertissium (Nakai) T.B.Lee), 섬대(Sasa borealis var. gracilis (Nakai) T.B.Lee)는 비합법명으로서 목록에서 제외하였다(Kim et al., 2005; Chang et al., 2012). 문헌 검토 결과, 재배식물, 오동정 및 비합법명인 208분류군을 제외한 838분류군이 울릉도 자생식물로 확인되었으나 대부분 증거 표본이 제시되지 않은 결과로서 타당성은 매우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는 문헌에 기록된 자생식물 838분류군 중 429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상
조사결과, 대상지역인 울릉도내에서 수집된 관속식물은 93과 313속 462종 6아종 52변종 4품종 등 총 494분류군으로 정리되었고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10.1%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양치식물 11과 36분류군(7.3%), 나자식물 5과 7분류군(1.5%), 피자식물 77과 451분류군(91.2%)이 포함되며 한반도 관속식물의 비율인 6.84%, 1.54%, 91.62%와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과별로는 국화과 11.1%, 벼과 9.8%로 한반도의 구성비율 국화과 8.4%, 벼과 6.6%에 비하여 특히 높은 구성 비율을 보이는데 이는 귀화식물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국화과와 벼과 식물들이 울릉도로 다수 유입된 결과로 판단된다. 한편 사초과(281분류군, 5.8%)와 미나리아재비과(149분류군, 3.1%) 등은 한반도 관속식물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분류군이지만 울릉도에서는 각각 2.4%(사초과, 12분류군)와 1.2%(미나리아재비과, 6분류군)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울릉도의 산림식생은 크게 난온대성 상록활엽수림과 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된다(Kim, 2006). 난온대성 상록활엽수림은 후박나무-이대군락으로 대표되며 해발 500 m 미만 지역에 넓게 분포하였다. 여기에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식나무(Aucuba japonica Thunb.), 송악(Hedera rhombea (Miq.) Bean),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Miq.) 등의 상록활엽수가 우점하고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섬잣나무(Pinus parviflora Siebold & Zucc.), 곰솔(Pinus thunbergii Parl.) 등 상록침엽수 및 팽나무(Celtis sinensis Pers.),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 ex Prain), 곰의말채나무(Cornus macrophylla Wall.), 붉나무(Rhus javanica L.), 머귀나무(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등의 낙엽활엽수가 교목층 및 아교목층을 구성하고 있었다. 산림의 하층에는 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Thunb.),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섬개회나무(Syringa patula var. venosa (Nakai) K.Kim) 등의 관목층 식물과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L.) Kitam.), 곰비늘고사리(Dryopteris uniformis (Makino) Makino), 골고사리(Asplenium scolopendrium L.) 등의 초본식물이 출현하였다. 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을 대표하는 식생형은 너도밤나무-섬노루귀군집으로 울릉도 고유의 특산식생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1996). 해발 500 m 이상의 산림지역에 나타나며 너도밤나무(Fagus multinervis Nakai),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 섬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subsp. takesimense (Nakai) P.C.DeJong), 섬피나무(Tilia insularis Nakai),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und) 등의 교목층과 참회나무(Euonymus oxyphyllus Miq.), 회잎나무(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Franch. & Sav.) Hiyama),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 섬쥐똥나무(Ligustrum foliosum Nakai) 관목층이 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을 구성하고 있었다. 하층부에는 울릉산마늘, 큰두루미꽃(Maianthemum dilatatum(Wood) A.Nelson & J.F.Macbr.), 큰연영초, 섬노루귀(Hepatica maxima (Nakai) Nakai), 일색고사리(Arachniodes standishii (Moore) Ohwi), 애기괭이눈(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등이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였다. 냉온대성 낙엽활엽수림과와 난온대성 상록활엽수림의 이행대에서는 솔송나무(Tsuga sieboldii Carrière), 선갈퀴(Asperula odorata L.), 쪽동백나무(Styrax obassia Siebold & Zucc.), 물엉겅퀴(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등수국(Hydrangea petiolaris Siebold & Zucc.), 바위수국(Schizophragma hydrangeoides Siebold & Zucc.),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 Decr.),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iq.) Matsum.) 등이 관찰되었다. 울릉도의 해안식생에는 섬댕강나무(Abelia coreana var. insularis(Nakai) W.T.Lee & W.K.Paik),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 보리밥나무, 왕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등의 관목식생이 발달하였으며, 갯제비쑥(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산쑥(Artemisia montana (Nakai) Pamp.), 섬현삼(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섬장대, 섬광대수염(Lamium takesimense Nakai),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 섬바디(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해국(Aster sphathulifolius Maxim.) 등이 초본층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울릉도 특산식물
Nakai(1919)는 울릉도의 특산식물을 40여 분류군으로 보고하였다. Kitagawa (1937), Ohwi (1938)는 50여 분류군의 특산식물을 기록하였으며, Yang (1956), Lee and Joo (1958), Oh (1978), Hong et al. (2002) 등의 연구에서는 각각 40여 분류군을 기록한 바 있다. 문헌에 울릉도 특산으로 기록된 분류군 중 여우꼬리사초(Carex blepharicarpa var. stenocarpa Ohwi), 섬말나리(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2분류군은 주변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Oh, 2005; Xinqi et al., 2000; Kadano, Y. et al., 1993), 섬황경피나무(Phellodendron insulare Nakai), 좀회잎나무(Euonymus alatus var. microphyllus Nakai), 우산고로쇠(Acer oakamotoanum Nakai), 섬왕머루(Vitis amurensis var. glabrescens Nakai), 섬제비꽃(Viola takesimana Nakai), 섬꼬리사초(Carex takesimensis Nakai), 왕밀사초(Carex matsumurae Franch.), 섬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얼룩산마늘(Allium victorialis f. variegatum (Nakai) W.Lee), 큰잎댕댕이덩굴(Coccueidlueids orbiculatus f. macrophyllus (Nakai) S.Y.Oh), 흰꽃주름제비란(Cymnadenia camlschatica f. albiflora (Nakai) S.Y.Oh), 둥근잎섬쥐똥나무(Ligustrum foliosum f. ovale Nakai), 무늬왕호장근(Polygonum sachalinense f. variegatum (Nakai) S.Y.Oh), 왕털마가목(Sorbus commixta f. rufo-hirtella Nakai), 흰섬개회나무(Syringa patula var. venosa f. lactea K.Kim), 무늬좀꿩의다리(Thalictrum minus f. variegatum Nakai)은 분류학적 이명, 섬명아주(Chenopodium distatum L.), 울릉고사리(Dryopteris takesimensis Kodama), 죽도제비꽃(Viola dageletiana Nakai)은 비합법명으로서 울릉도 특산식물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이것으로 울릉도산 특산식물은 23과 33분류군으로 정리되었으며(Table 3), 이번 조사에서는 30분류군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한편 섬쑥부쟁이(Aster pseudoglehni Y.Lim, J.O.Hyun & H.Shin)는 오동정으로 인하여 Aster glehnii F.Schmidt로 잘못 인식되던 분류군으로 Lim et al. (2003)에 의하여 신종으로 발표되어 울릉도 특산식물로서 기록된 바 있다. 섬댕강나무와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는 분류학적 이견이 존재하는 분류군으로 울릉도 특산식물 목록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본 조사에서는 산림청에서 제시한 희귀식물(Lee, 2008)에 해당하는 26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멸종위기종(CR), 위기종(EN), 취약종(VU)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Table 4). 멸종위기종(CR)에 해당하는 식물 중 섬댕강나무는 저동재 남쪽 봉우리(261.1 m) 정상 근처에서 수십 개체의 생육을 확인하였다. 자생지는 탐방객이 거의 방문하지 않는 지역으로 인위적 위협요소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개체수가 적고 고립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보존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요구된다.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는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뿐만 아니라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2급에 해당되는 분류군으로서 서면 남양 국궁장 근처에서 200여 개체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본 자생지는 숲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경작지와 인접하고 있어서 직접적인 인위적 위협과 침수, 침식에 의한 자연적 교란요소에 노출되어 있었다. 서면 남양리의 산지에서는 금새우난초(Calanthe discolor f. sieboldii (Decne.) Ohwi) 약 10개체를 확인하였다. 본 분류군은 관상적 가치로 인하여 인근 주민들에 의해 무분별하게 채취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자생지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섬현호색(Corydalis filistipes Nakai)은 북면 나리분지 인근의 계곡과 성인봉 정상부근의 남사면과 북서사면에 수십 개체씩 군락을 형성하여 분포하고 있었으며, 큰바늘꽃(Epilobium hirsutum L.)은 사동의 도로변에서 수십 개체를 확인하였다. 섬개야광나무는 도동 산책로 주변에서 소수개체의 분포를 확인하였고 통구미 해안절벽 일대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2). 섬국수나무(Spiraea insularis (Nakai) H.Shin, Y.D.Kim & S.H.Oh) 나리분지와 천부리 사이에 위치한 계곡에서 10개체 미만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섬현삼은 태하리와 남서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해안가에 분포하였다. 한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식물은 1급에 해당하는 섬개야광나무와 1분류군과 2급에 해당하는 섬시호, 섬현삼, 큰바늘꽃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환경부에서 지정한 특정식물종 5등급 종은 고추냉이, 개종용(Lathraea japonica Miq.),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덩굴용담(Tripterospermum japonicum (Siebold & Zucc.) Maxim.) 등 12분류군, 4등급 종은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물엉겅퀴, 천마(Gastrodia elata Blume) 등 38분류군, 3등급 종은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D.Don ex G.Don),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Blume), 가지더부살이(Phacellanthus tubiflorus Siebold & Zucc.) 등 20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5). 고추냉이는 나리분지 인가 주변부의 숲 가장자리와 용출수 주변에서 군락을 지어 생육하고 있었으며, 개종용은 나리령 계곡과 신령수 주변 계곡에서 비교적 많은 수의 개체를 확인하였다. 초종용은 남양터널 일주도로의 해안가에서 조사되었고 덩굴용담은 내수전의 북쪽 탐방로 주변에서 드물게 관찰되었다. 헐떡이풀(Tiarella polyphylla D.Don)과 울릉국화(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는 알봉분지와 신령수 성인봉 원시림 일대에 분포하였고, 섬자리공은 일주도로를 따라 울릉도 해안가에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약모밀(Phytolacca insularis Nakai)은 깍끼등 북동쪽 계곡 하부에서 관찰되었으나, 예전 재배하던 것이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약모밀은 우리나라 자생이 아닌 분류군으로서 특정식물종 5등급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귀화식물
본 연구에서는 약모밀, 닭의덩굴(Fallopia dumetorum (L.) Holub),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등 16과 66분류군의 울릉도 귀화식물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의 귀화율(Naturalized index: 출현 귀화식물 분류군수/출현 분류군수 × 100)은 13.4%,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출현 귀화식물 분류군수/남한 귀화식물 총 분류군수 × 100 = 66/321 × 100)은 20.6%로 확인되었다. 문헌에 기록된 울릉도의 귀화식물은 22과 81분류군이었으며(Yang, 1956; Chung and Lee, 1965; Choi, 1968; Lee and Yang, 1981; Shin and Kim, 2002),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13분류군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울릉도의 해안일주도로를 따라 확산되고 있으며, 취락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다(Fig. 3). 도동과 행남등대 주변, 서면 구암마을, 북면 현포리와 천부리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석포, 나리분지, 현포항, 남양리 나팔등, 저동 봉래폭포 주변에서도 비교적 많은 수의 귀화식물이 관찰되었다. 특히 나리분지와 봉래폭포는 탐방객의 방문이 매우 빈번하며 성인봉 원시림에 인접하고 있어 산림 안쪽으로의 확산이 우려되는 지역으로써, 이 지역에 대한 귀화식물의 방제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태계교란종인 애기수영은 천부, 남양, 도동, 저동 일대에서 확인되었고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은 통구미와 저동폭포 일대, 가시상추(Lactuca scariola L.)는 수층터널 주변에 생육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3년도 충북대학교 학술연구지원사업의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습니다.
References
Appendices
Appendix 1.
List of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including voucher specimens.
kjpt-45-2-192-app1.pdf